경제적 자유를 이룬다면 무엇을 해야할까?
경제적 자유의 뜻
일반 직장인이라면 평소 출근 준비시간 그리고 출근 후 일을 하는 시간, 쉬는 시간 그리고 퇴근하는 시간을 포함하면 사실 말만 주 8시간이지 준비시간-퇴근시간 그리고 업무와 짧은 휴식시간을 생각하면 평일 하루 24시간 중 8시간 이상을 직장인들은 회사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루에 잠자는 시간을 7~8시간으로 잡으면 거의 70~80% 이상의 시간을 직장에 사용하고 있는 수많은 직장인들 그래서 요즘 나오는 이야기가 바로 경제적 자유입니다. 먼저, 경제적 자유가 무엇이며 경제적 자유란 것을 얻으면 어떤 삶을 살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볼까요?
경제적 자유란? 일을 하지 않아도 먹고사는 데에 지장이 없는 자산을 가지고 있으며, 궁극적으로 돈이라는 영역에서 스트레스를 벗어난 사람들을 뜻한다. 이들은 앞으로 최소한 먹고사는 데에 지장이 없는 사람들로 자신이 원하는 일을 선택해서 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지고 있다.
많은 대한민국 직장인이 권위주의적이고 상하관계가 있는 직장을 많이 불편해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족이 있거나, 생업이 급한 사람에게는 직장에서 지급되는 월급이 필요합니다. 월급을 당장 받지 못하면 한 달을 생활하기도 어렵기 때문에 우스갯소리로 월급은 마약이다라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습니다.
자, 경제적 자유이루기 위해 해야 할 것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볼까요?
경제적 자유를 이루기 위한 조건들
- 자신의 1년 생활비의 최소 20~30배 이상의 순자산을 보유한 사람
- 직장인이라면 월급의 저축률이 높아야 한다
- 자신이 어떤 것을 원하는지 알아야 한다.
경제적 자유를 이루기 위한 조건들은 간단합니다. 직장인 기준으로 열심히 번 돈을 가지고 저축률을 높게 끌어올려 지출은 줄이고 수입을 극대화시키는 방향으로 재무 설계를 해두어야 합니다. 물론 너무 많은 저축을 한다면 후에 저축 번아웃 증상이 발생할 수 있으니 적당하게 저축을 하시는 것을 권장드리며, 꼭 수입보다 지출이 많으면 안 됩니다.
수입 대비 지출을 줄이고 저축을 지속하면서 투자를 하다 보면, 모아둔 돈들이 또 돈을 벌어들여오는 자본주의 시스템이 발동되는데, 이 시스템을 복리라고 합니다. 매년 자산이 불어납니다.
이렇게 자신의 1년 생활비의 최소 20~30배 이상의 순자산을 보유한다면 일단 경제적 자유를 이룰 수 있는 조건을 갖추었습니다. 하지만 경제적 자유에도 돈보다 더 중요한 요소가 있는데요. 바로 3번 자신이 어떤 것을 원하는지 아는 것에 있습니다.
경제적 자유를 이루면 막연히 일을 하지 않고 놀고먹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은퇴를 하면 대부분 몇 달 되지 않아서 큰 지루함을 느끼기 마련입니다. 따라서 경제적 자유를 달성하려고 노력하되 달성한다면 어떠한 삶을 살아갈지에 대해서도 생각해야 합니다.
경제적 자유를 이루고 난 많은 투자자가 직장을 퇴사하고 하는 일은 아래와 같습니다.
- 프리랜서 작가/ 강사
- 자신만의 사업체 마련
- 전업투자자 전향
대부분 경제적 자유를 이루시고 은퇴한 분들의 일의 방향입니다. 여러분은 어떤 목표를 두고 은퇴를 결정하시나요?
경제적 자유의 의미
사실 경제적 자유의 의미는 크게 상관없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직장의 일이 재미없고 고단해서 만들어진 단어라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경제적 자유라는 단어가 나오기 전에는 흔히 파이어족이라고 불렸죠.
결국 경제적 자유를 떠나 자신이 무엇을 목표로 하는지부터 정해야 할 것 같습니다. 막무가내로 돈이 많으면 편하고 좋을 것 같지만 막상 자신이 원하는 돈의 목표치를 달성한다고 해서 행복해지는 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
원래 1억을 원했던 사람들은 1억을 달성하고 10억을 원하고 10억을 달성한 사람들은 100억을 원하고 이 패턴은 똑같은데 결국 과정에서의 즐거움과 행복함 그리고 주변을 챙길 수 있는 여유로움등이 인생의 행복을 좌우하는 것 같다는 의견이 우세합니다. 결국 아무리 많은 숫자를 달성하고 늘려간다 해도 주위에 모든 사람을 잃고 가진건 돈 밖에 없고 건강하지 못하다면 인생을 즐기려야 즐길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이렇기 때문에 자신이 무엇을 원하는지 정확히 알고 달려야 합니다. 자신이 원하는 게 무엇인지는 불쑥 나타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지속적인 경험과 배움으로 알아갈 수 있을 것입니다.
언제 정확히 나타날지 모르지만, 우리 모두 경제적 자유를 위한 내일을 응원해봅니다.